파이썬 주석(comment) 표시 방법과 용도
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이 되는 주석이란 보통 메모를 하는 용도로 사용이 됩니다. 코드를 작성하는데 해당 코드에 대한 사용방법이나 여러 내용들을 메모해야 할 때가 많이 있습니다. 내가 코드를 짜긴 했지만 코드가 길어진다거나 작성을 하고 나중에 봤을 때 코드를 해석하는데 어려울 때가 있죠.
파이썬에서는 한 줄 주석과 여러 줄 주석이 있습니다.
# 출력하는 기능
print('출력')
한 줄 주석을 사용할 때는 #을 넣어주면 됩니다. # 뒤에 어떤 내용을 입력하더라도 코드를 진행할 때 해당 내용은 무시가 되기 때문에 코드 흐름에서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볼 수 있겠죠.
# 한줄
# 두줄
# 세줄
print('주석 테스트')
그리고 한 줄짜리 주석을 이렇게 여러 줄 입력하더라도 코드 진행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. 그러나 이렇게 여러 줄을 처리해야 할 때는 #을 사용하는 방법보다는 작은따옴표와 큰 따옴표를 적는 것을 많이 쓰곤 합니다.
"""
여러줄
한번에
쓰기
"""
print('주석 테스트')
따옴표 3개로 주석 문을 열고 닫아줍니다. 그리고 그 사이의 문자열은 줄바꿈을 하더라도 하나의 주석으로 인식을 합니다.
'''
이것도
된다!
'''
print('주석 테스트')
작은따옴표, 큰따옴표는 동일한 여러줄 주석 기능입니다.
# a = 1
print('a 변수 잠시 제외!')
단순히 메모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테스트에서 잠시 어떤 기능을 제외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을 할 수도 있습니다. 여러 가지 기능을 바꿔가면서 프로그램 테스트를 할 때도 매우 유용하죠.
결론은 프로그래밍을 할 때 항상 주석을 만들어서 메모를 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습니다. 특히 프로그래밍을 시작한지 얼마 안 된 경우라면 어떤 기능에 대해서 금방 까먹을 수 있기 때문에 습관적으로 주석 문을 작성하는 것이죠!
'파이썬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스레드 쓰레드 (thread) 및 대기열 (queue) (0) | 2022.11.13 |
---|---|
파이썬 라이브러리 모듈 다운로드 및 import 사용 방법 (0) | 2022.11.01 |
파이썬 print와 input 함수 사용 방법 (0) | 2022.10.31 |
파이썬 함수 def 선언 후 사용 방법 및 용도는? (1) | 2022.09.30 |
파이썬 기초 딕셔너리 사전 사용법은? (1) | 2022.09.30 |